맨위로가기

대조영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조영은 2006년부터 2007년까지 방영된 KBS의 시대극으로, 발해 건국의 영웅 대조영의 일대기를 다룬 드라마이다.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이 존재하며, 고구려 멸망 이후 대조영의 활약상을 그렸다. 드라마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인기를 얻어 134부작으로 연장되었으며, 최수종, 정보석, 이덕화 등 많은 배우들이 출연했다. 드라마는 역사 왜곡에 대한 비판을 받았으며, OST 앨범과 DVD-BOX로도 출시되었다. 일본에서도 방송되었으며, 관련 가이드북도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구려 역사 드라마 - 연개소문 (드라마)
    2006년 SBS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연개소문은 유동근, 이태곤 등이 연개소문 역을 맡아 고구려의 권력을 장악하고 군사 독재를 펼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역사 왜곡 및 잔혹성 묘사 논란에도 불구하고 2006년 SBS 연기대상에서 수상하는 등 일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고구려 역사 드라마 - 자명고 (드라마)
    자명고는 낙랑국 설화를 바탕으로 자명고를 의인화하여 창작된 한국 드라마로, 자명, 호동, 라희의 비극적인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낙랑국과 고구려의 갈등 및 낙랑국 멸망을 막기 위한 자명의 노력을 그린다.
  • 장영철 시나리오 작품 - 몬스터 (2016년 드라마)
    《몬스터》는 거대한 권력 집단에 의해 가족과 인생을 잃은 남자가 복수를 하는 과정을 그린 2016년 드라마이며, 변일재, 도건우, 오수연 등과의 갈등과 도도그룹 내부 권력 투쟁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장영철 시나리오 작품 - 자이언트 (드라마)
    자이언트는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 서울 강남 개발을 배경으로, 삼 형제가 아버지의 죽음에 얽힌 음모를 파헤치고 복수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이다.
대조영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홍보 포스터
홍보 포스터
장르사극
제작정영철
연출김종선
윤성식
극본장영철
출연최수종
이덕화
정보석
박예진
홍수현
임혁
최철호
김학철
음악이필호 (음악 감독)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방송 횟수134
제작사KBS 자체 제작
방송 채널KBS 1TV
방송 기간2006년 9월 16일 ~ 2007년 12월 23일
관련 작품대조영
제작진
총괄 프로듀서이강현
책임 프로듀서문보현
김명욱
고영탁
이덕건
이성주 (KBS 드라마 운영팀)
조연출김영균
백상훈
음향
음성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해설김도현
기타 정보
시청 등급15세 이상 시청가
제작 형식HD 제작 · 방송
자막청각장애인들을 위한 자막방송
제작비₩ 350억
외부 링크KBS 대조영 공식 홈페이지

2. 역사적 사실

발해는 고려와 비슷하게 외왕내제 체제로 운영되었다. 발해는 독자적인 군주 호칭과 대이진대까지 연호를 사용했다. 정혜정효공주묘 지명에는 부왕 문왕을 황상(皇上)으로 표현했는데, 황상은 신하가 황제를 부를 때 사용하는 경칭이다. 고구려 멸망 후,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의 일대기를 그리고 있다.

2. 1. 역사와 다른 점


  • 고구려 멸망 이전 대조영의 행적은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따라서 제왕기운 등의 음모로 어릴 때 부모와 생이별한 후 연개소문의 집에서 노비로 자랐다는 이야기, 패수대첩에서 공을 세워 노비 신분에서 해방됐다는 이야기는 모두 작가의 창작이다.[1]
  • 고왕 대조영의 탄생 설화를 하늘에서 별똥별이 떨어지는 장면으로 강조하였다.[1]
  • 이진충의 거란족 군대가 당 고종의 고구려 정벌에 참여해 공을 세웠다는 것은 역사적 근거가 없는 이야기로, 작가의 창작이다.[1]
  • 걸걸중상에게는 적어도 세 명의 아들이 있었고, 발해의 후대 국왕들 중에는 대조영의 동생들 자손도 있는데, 드라마에서는 대조영이 대중상의 외아들로 나온다.[1]
  • 걸사비우양만춘 휘하의 무장이 아니고 말갈족의 추장이다.[1]
  • 걸사비우발해 건국 이전에 전사하는데, 드라마에서는 발해 건국 후에도 살아있는 것으로 나온다.[1]
  • 측천무후는 대천후로 즉위 후 국호를 “주(周)”로 바꾸는데, 드라마에서는 측천무후 즉위 이후에도 국호가 “당(唐)”으로 남아있다.[1]
  • 발해 2대 국왕 무왕이 되는 대조영의 장남 이름은 대무예이다. 본명이 분명히 전해지는 인물을 등장시키면서 역사에 기록된 본명을 쓰지 않고 임의로 지어낸 “단”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은 납득하기 힘든 부분이다. 또한 대무예는 발해 역대 국왕 중 당나라에 대해 가장 강경한 정책을 쓰고, 그로 인해 발해와의 화친을 원하는 친동생 대문예가 대당 제국으로 망명하는 사태가 일어날 정도로 호전적인 기질을 지닌 인물임에도, 드라마에서는 대조영의 장남 “단”을 심약한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1]
  • 잠시 등장하는 고선지어린이로 등장한다.[1]
  • 설인귀이해고의 생몰연도에 오류가 있다.[1]
  • 걸걸중상의 이름을 대중상으로 바꿔 등장시켰다.[1]

3. 등장 인물

다음은 드라마 대조영의 등장인물에 대한 설명이다.

배우역할설명
최수종대조영고구려 말기의 장수이자 발해의 건국자.
홍수현숙영대조영의 아내이자 후일 발해의 왕후.
임혁대중상대조영의 아버지.
김석대단대조영의 장남이자 후일 발해의 발해 무왕.
최철호걸사비우대조영과 의형제를 맺은 말갈족 출신 장수.
김학철흑수돌대조영과 의형제를 맺은 고구려 출신 장수.
김정현미모사백제 출신으로 대조영의 최고 책사.
심은진금란미모사의 양자매, 발해의 공신. 걸사비우를 구하다 죽음.
윤용현계필사문돌궐의 지도자. “마두산(馬頭山)의 늑대”라는 별명.
방형주퉁소돌궐의 장군, 계필사문의 추종자.
임선택장산해발해의 문신(재상), 대중상의 추종자.
장선국돌발대중상의 동생이자 장군.
신원균무염대중상의 부하 장교, 후일 발해의 장군.
임채원아우홍흑수돌의 아내.
김진태연개소문고구려의 최고 사령관.
임동진양만춘안시성 성주.
길용우보장왕고구려의 마지막 왕.
김하균부기원고구려의 전 좌승상, 당나라의 협력자.
이덕화설인귀당나라 장군.
류태슬홍패설인귀의 오른팔.
송용태당 태종당나라의 황제.
양금석측천무후당나라의 황후.
남성진이문당나라 장군, 설인귀의 추종자.
전현무승사당나라 재상, 측천무후의 조카.
박예진초린거란족 칸 이진충의 딸.
정보석이해고초린의 남편이자 최고 장군.
김동현이진충거란의 초대 칸.
조인표손만영거란의 두 번째 칸.
김규철신홍이해고의 책사.
이달형설계두이해고의 추종자.
황택하모걸이해고의 추종자, 후에 이검의 추종자.
정태우이검초린과 대조영의 아들.
강재익묵철 카간돌궐의 카간.
이영호이넬돌궐의 왕자.
김성훈토니욱쿠크돌궐의 장군이자 조력자.
김종국빌게돌궐의 왕자.
함석훈퀼테긴돌궐의 왕자.


3. 1. 대조영과 그의 라이벌

최수종고구려 말기의 장수이자 발해의 건국자인 대조영 역을 맡았다. 정보석은 대조영의 최대 라이벌이자 거란 최고의 장수인 이해고 역을 맡았다. 이덕화당나라 장수인 설인귀 역을 맡아 대조영과 숙명의 라이벌 관계를 연기했다. 남성진은 당나라 장수이자 설인귀의 부장인 이문 역을 맡았다. 강재일돌궐카간카파간 카간(묵철) 역을 맡아 대조영과 협력 및 대립 관계를 맺었다.

3. 2. 대조영의 여인

3. 3. 대조영의 아들


  • 정태우 : 이검 역 (대조영의 아들, 출생의 비밀을 안고 갈등)[26]
  • 김석 : 발해 무왕(단이) 역 (대조영의 아들, 후일 발해 무왕)
  • 이충훈 : 대문예(적이) 역 (대조영의 아들, 후일 대문예)


검은 대조영과 초린 사이에서 태어났지만, 어떤 사정으로 이해고와 초린의 아들로 자랐다.[26] 영주가 당나라에 침공당해 쫓기던 중 초린과 부하들과 함께 대조영에게 목숨을 구원받는다. 대조영을 장군으로서 진심으로 존경하며 돕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여러 전공을 세운다. 거란국 초대 황제 이진충의 뜻인 대조영과의 동맹 유지를 이루고자 분투한다. 대조영이 하고 있던 고구려 유민의 보살핌을 돕거나, 이복동생인 단의 술자리에 동석하는 등, 속정이 깊은 면도 있다. 발해의 태자 유력 후보가 되지만, 나라의 분열을 우려하여 스스로 여행을 떠난다.

대조영은 검과 단(단니) 두 아들을 염두에 두고 후계자를 생각한다. 검에게 더 마음이 기울어 있으면서도 결정을 내리지 못한다. 단은 숙녕의 아들이므로 마지막 고구려 왕족의 피를 이었고, 검은 어머니 초린을 통해 거란족의 피를 이었지만, 검은 남다른 재능, 지도력, 지능을 보여준다. 결국 검은 후계를 둘러싼 대조영 추종자들 사이에 불화가 생길 것을 우려하여 나라를 떠나기로 결심한다.

대조영은 검을 찾아가 작별 편지를 쓰고 있는 그를 발견한다. 그는 "가지 마라..."라고 말하며 검에게 항상 하고 싶었던 말 "아들아..."를 내뱉는다. 검은 "아들아"라는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리며 대조영에게 항상 하고 싶었던 말인 "아버지..."라고 말한다. 검과 대조영은 아버지와 아들로서 슬프게 포옹한 후, 검은 알 수 없는 운명을 향해 떠난다.

3. 4. 대조영의 조력자


  • '''대중상'''(大仲祥): 임혁

: 대조영의 아버지. 고구려의 장수이자 양만춘의 부장이다. 아내와 아들이 연개소문에게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오랜 세월 동안 슬픔에 잠겨 있었으나, 아들 대조영이 살아있음을 알고 재회한다.

  • '''미모사''': 김정현

: 백제 출신의 책사. 백제성 마을의 손자이자 취성루의 주인으로, 대조영 일행의 배 약탈에 협력한다.[16] 이 일로 할아버지와 고향을 잃고 대조영에게 원한을 품지만, 백제 부흥을 위해 다시 협력한다. 신비한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동명천제단 결성과 붕괴 이후에도 대조영의 군사로서 활약한다.

  • '''장산해'''(張山海): 임선택

: 태학 사범 출신으로, 발해 건국 공신이자 문신(재상)이다. 대중상의 추종자이기도 하다.
: 말갈족 추장의 아들이자 고구려의 장수. 대조영과 의형제를 맺고 그의 업적을 돕는다. 과묵하고 침착하지만, 때로는 대담한 면모를 보인다. 금란에게 호감을 느끼고, 검의 정체를 알게 된 후 고민한다.

  • '''흑수돌'''(黑水突): 김학철

: 고구려 비사성 출신이자 고구려의 장수. 대조영, 걸사비우와 의형제를 맺는다. 용맹하지만 식탐이 많고 우직한 성격으로, 아내 어홍에게 꼼짝 못한다.

  • '''계필사문'''(契苾娑門): 윤용현

: 돌궐 출신의 용장으로, "마두산(馬頭山)의 늑대"라는 별명을 가졌다. 이해고에게 희생되어 죽음을 맞이한다.

  • '''퉁소''': 방형주

: 돌궐 출신으로, 계필사문의 부장이다.
: 미모사의 최측근이자 여전사. 걸사비우를 위해 희생한다. 처음에는 말을 못하는 척했으며, '여자'로 여겨지는 것을 싫어한다. 미모사를 신뢰하고 존경하며, 걸사비우에게 점차 마음을 연다.

  • '''마파''': 김관기

: 대조영의 부장이다.

  • '''어홍''': 임채원

: 흑수돌의 부인이다.

3. 5. 고구려 사람


: 고구려의 마지막 왕.
: 고구려의 대막리지.

: 대중상에게 대조영이 죽었다고 속여 노비 계동으로 키운다.
: 안시성의 성주. 대중상의 상관이자 고구려의 명장.

: 이세민의 공격을 격퇴하고 활로 왼쪽 눈에 부상을 입혔다.[17] 대조영을 지키기 위해 전력을 다했다. 고구려 멸망 직전 사부구에게 암살당한다.
: 연개소문의 장남.
: 연개소문의 차남.
: 고구려의 무관. 검술 교관.

: 연남생에게 몰렸던 대조영을 돕고, 고구려 멸망 후 복흥 운동을 벌여 고안승을 왕으로 추대한다.
: 보장왕의 조카.

: 신라에 망명했다가 검모잠에 의해 추대되어 고구려 재흥을 선포하고 왕이 된다.

3. 6. 고구려를 멸망시킨 사람들


: 연개소문의 장남이다.
: 연개소문의 차남이다.
: 남부욕살이자 고구려의 대신이다. 당나라설인귀와 손을 잡고 연개소문을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민다.
: 부기원의 심복이다. 고구려 멸망 직전 양만춘을 암살한다.
: 신홍의 형이다. 고구려 멸망의 원흉이다.
: 보장왕의 친척이다. 검모잠에 의해 추대되어 한성에서 고구려 재흥을 선포하고 왕이 되지만, 신라로 망명한다.
: 북부욕살이다. 당나라에 속아 죽는다.

  • '''선겸'''( ): 김동석

: 계진의 심복으로, 당나라 사신이다.

3. 7. 그 외의 고구려 사람들


  • 박순천(젊은 달기: 하다솜): 대조영의 어머니 달기 역을 맡았다.
  • 김경희: 숙영의 시종인 기실이 역을 맡았다.
  • 정두겸: 고구려 유민촌 촌장 방계 역을 맡았다.
  • 전원주: 산파 역을 맡았다.
  • 김재권: 물에 떠내려온 달기를 거둔 어부사내 역을 맡았다.
  • 김현아: 어부사내의 부인인 아낙 역을 맡았다.
  • 박경득: 어린 시절 대조영을 보호하던 행랑할아범 역을 맡았다.
  • 이현숙: 이해고의 어머니이자 부지광의 처 역을 맡았다.
  • 양재성: 안시성 촌장 역을 맡았다.

3. 8. 거란족


  • 김동현: 이진충 역 - 거란의 가한이며 초린의 아버지.[14] 대조영을 거란의 은인으로 여기고 후하게 대접하지만, 그 때문에 손만영을 비롯한 신하들의 불만을 사기도 한다.
  • 조인표 : 손만영 역 - 이진충의 처남이며 거란의 2대 가한.[26] 이진충의 뒤를 이어 거란국의 황제가 되지만, 그 재능은 이진충에게는 미치지 못한다.
  • 김규철 : 신홍 역 - 이해고의 수하이며 거란 최고의 전략가이자 이해고의 책사. 이해고의 집안 노비였던 관계로, 이해고의 수하가 되기를 자청했다. 한때는 연남생의 수하로 있었다. 대조영을 번번히 방해한다. 이진충의 유서를 찾기 위해 이진충을 살해하였고, 천문령 전투에 패배해 이해고의 위치를 알려주다 대조영에게 살해된다.
  • 이달형 : 설계두 역 - 이해고의 부장. 흑수돌, 계필사문과는 라이벌. 이해고를 지키려다 대조영에게 죽는다.
  • 황택하 : 모개 역 - 이해고의 부장. 천문령 전투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거란장수. 충성심은 설계두, 도협보다 강하다.
  • 이승효 : 도협 역 - 이해고의 부장. 전 사부구의 부장. 이해고를 지키려다 걸사비우에게 죽는다.
  • 한춘일 : 마고 역 - 거란 환관
  • 故 한경선 : 태평 역 - 초린의 시녀
  • 이관훈 : 매천 역 - 이검의 심복

3. 9. 당나라 사람들


  • 송용태 : 당 태종 이세민 역 - 당나라 2대 황제. 이름은 세민. 세계 정복을 위해 고구려에 침공하여 뛰어난 전략으로 고구려 군사들을 물리쳐 고구려에 큰 위협을 주었으나, 안시성 전투에서 양만춘에게 한쪽 눈을 잃고 패배한다.
  • 한범희 : 당 고종 이치 역 - 당나라 3대 황제. 당 태종의 아들이며, 이름은 치. 아버지처럼 지력이 강해 계략으로 고구려를 멸망시키는 데 성공한다. 대조영 등 고구려 재흥 세력들을 경계한다.
  • 양금석 : 측천무후 역 - 당 고종의 두 번째 부인. 당나라 최초의 대천후. 야심이 대단하며, 대조영과 이진충 등 거란 세력과 묵철 등 돌궐 세력을 경계하며 '최후의 승자'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당 황실 세력에 맞서 싸우다 패배하여 추방당한다.
  • 안대용 : 장손무기 역 - 당나라 대승상이자 이세민의 처남.
  • 정재곤 : 강하왕 역 - 당 태종의 친척. 이름은 도종. 요동도행군부총관.
  • 선동혁 : 이적 역 - 당나라 최고의 무신이자 건국공신. 이문의 삼촌. 요동도행군대총관.
  • 김기복 : 소정방 역 - 당나라 장수. 이적의 부장이자 최측근.
  • 진운성 : 방효태 역 - 당나라 장수. 당나라 최고의 창술 실력을 가졌다.
  • 고인범 : 부복애 역 - 당나라 장수. 설인귀의 공을 가로채려고 토산을 쌓자고 했으나, 고구려 측에서 이를 알아차리고 토산을 무너뜨리는 작전을 써 성공시킨다.
  • 최동준 : 조문홰 역 - 당나라 대신. 거란이 차지한 영주의 통치를 감독하는 직책에 임명되었으며, 영주의 통치자로 군림했지만, 가혹한 통치 방식으로 거란인들의 원한을 산다.
  • 전현 : 무승사 역 - 당나라 대신. 측천무후의 조카로, 그녀가 권력을 잡도록 돕는다.
  • 유태술 : 홍패 역 - 설인귀의 부장. 장수로서의 재능은 부족하지만, 충성심은 '만고의 충신'이라 할 만하다. '끝까지' 설인귀에게 충성한다.
  • 신동훈 : 조인사 역 - 당나라 장수. 이해고의 부장. 흑수돌을 처형시키고 대조영에게 죽는다.
  • 황덕재 : 마인절 역 - 당나라 장수. 전투 중 이해고에게 붙잡힌 뒤 이해고에게 충성하고 거란의 장수가 된다.
  • 김경응 : 장현우 역 - 당나라 장수. 대조영이 안시성을 되찾으려 할 때 파견되었고, 천문령 전투에 참가하지만 양소위와 이해고의 대립으로 이문에게 죽는다.
  • 장건 : 이다조 역 - 조인사의 수하 장수.
  • 임병기 : 양소위 역 - 당나라 대신. 측천무후의 심복으로 천문령 전투 당나라 대총관에 임명되지만, 이해고와 대립하여 죽는다.
  • 안형식 : 위승 역 - 당나라 대신.
  • 서영탁 : 이맹 역 - 당나라 대신.
  • 기연호 : 적인걸 역 - 당나라 대신
  • 서찬호 : 우골 역 - 당나라 최강의 무사. 대조영이 당으로 압송되었을 때 대조영과 결투를 벌이다 죽는다.
  • 박유승 : 수봉 역 - 이문의 부장.
  • 강신조 : 우면 역 - 이문의 부장.
  • 윤갑수 : 사신 역 - 설인귀의 부장.
  • 이재포 : 천가 역 - 귀부산 포로수용소 책임자.
  • 최상훈 : 흑치상지 역 - 백제 출신 당나라 장수. 당에 압송된 대조영의 탈출을 돕는다.
  • 안신우 : 이현 역 - 당나라 태자. 역모를 꾀한 죄로 추방당한다.
  • 이종구 : 심부름꾼 역 - 당 고종을 모시는 환관.
  • 장희진 : 염상궁 역 - 측천무후를 모시는 상궁.
  • 정은미 : 화소 역 - 측천무후를 모시는 상궁.
  • 이성주 : 백암성 성주 역
  • 김창봉 : 안시성 성주 역
  • 이종만 : 백제성 촌장 역 - 백제 출신으로, 미모사의 할아버지이다.
  • 이영재 : 귀부산 포로수용소 백제 포로 역
  • 함석훈 : 귀부산 포로수용소 신라 포로 역

3. 10. 돌궐족

배우역할설명
주민준이넬돌궐 장수, 묵철의 아들. 후일 돌궐의 이넬 카간.
김종국빌게돌궐 장수.
김성훈톤유쿡돌궐 장수.
함석훈퀼테킨돌궐 장수.
강재익묵철돌궐의 카간.
이영호이넬돌궐의 왕자.
김종국빌게돌궐의 왕자.
함석훈퀼테킨돌궐의 왕자.


3. 11. 습족, 해족, 말갈족, 신라

4. 시청률

드라마 <대조영>은 방영 기간 동안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2006년 평균 시청률은 TNmS 기준 20.1%, AGB 기준 21%를 기록했으며, 2007년에는 평균 시청률이 더욱 상승하여 TNmS 기준 26.7%, AGB 기준 28.8%를 기록했다. 전체 평균 시청률은 TNmS 기준 25.1%, AGB 기준 26.9%이다. 최고 시청률은 TNmS 기준 2007년 9월 16일에 기록한 35.5%이며, AGB 기준으로는 2007년 12월 9일에 기록한 36.8%이다.

2006년
회차방송일시청률
TNmS 시청률AGB 시청률
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
제1회9월 16일12.1%
제2회9월 17일16.6%16.0%14.6%
제3회9월 23일13.4%13.6%12.2%
제4회9월 24일16.2%16.9%16.7%
제5회9월 30일16.4%16.3%15.9%
제6회10월 1일17.6%18.7%17.8%
제7회10월 7일14.4%15.9%14.5%
제8회10월 8일21.6%22.5%
제9회10월 14일19.9%19.2%
제10회10월 15일23.4%23.2%
제11회10월 21일20.7%20.2%
제12회10월 22일22.6%23.9%
제13회10월 28일22.1%23.0%
제14회10월 29일23.9%24.3%
제15회11월 4일21.2%20.1%
제16회11월 5일23.3%24.7%
제17회11월 11일19.6%19.8%
제18회11월 12일24.1%23.3%
제19회11월 18일20.7%22.5%
제20회11월 19일26.1%26.9%
제21회11월 25일19.1%22.3%
제22회11월 26일23.9%25.8%
제23회12월 2일21.5%22.3%
제24회12월 3일23.6%24.7%
제25회12월 9일18.9%20.4%
제26회12월 10일23.5%23.6%
제27회12월 16일19.5%21.4%
제28회12월 17일22.3%23.9%
제29회12월 23일18.4%20.8%
제30회12월 24일18.8%21.3%
제31회12월 30일19.8%22.2%
제32회12월 31일17.4%19.9%
2006년 평균 시청률20.1%21%
2007년
회차방송일시청률
TNmS 시청률AGB 시청률
제33회1월 6일20.2%24.5%
제34회1월 7일23.0%25.9%
제35회1월 13일15.2%19.7%
제36회1월 14일20.5%22.9%
제37회1월 20일20.7%23.8%
제38회1월 21일22.0%25.9%
제39회1월 27일18.9%21.2%
제40회1월 28일20.2%24.1%
제41회2월 3일20.3%23.3%
제42회2월 4일20.9%23.7%
제43회2월 10일19.6%21.6%
제44회2월 11일21.6%25.7%
제45회2월 17일15.5%18.9%
제46회2월 18일15.6%17.2%
제47회2월 24일20.7%23.1%
제48회2월 25일21.7%25.8%
제49회3월 3일19.0%19.1%
제50회3월 4일22.7%25.0%
제51회3월 10일19.8%21.4%
제52회3월 11일22.6%26.5%
제53회3월 17일21.7%22.9%
제54회3월 18일26.0%27.3%
제55회3월 24일20.1%21.3%
제56회3월 25일29.4%29.7%
제57회3월 31일26.9%27.5%
제58회4월 1일28.5%30.3%
제59회4월 7일23.1%25.7%
제60회4월 8일27.0%29.5%
제61회4월 14일22.5%24.3%
제62회4월 15일25.9%26.7%
제63회4월 21일22.6%26.6%
제64회4월 22일26.5%29.4%
제65회4월 28일22.4%24.9%
제66회4월 29일25.7%28.6%
제67회5월 5일22.1%25.6%
제68회5월 6일26.9%29.1%
제69회5월 12일24.0%26.7%
제70회5월 13일28.4%30.6%
제71회5월 19일22.0%25.1%
제72회5월 20일25.1%29.5%
제73회5월 26일24.3%27.7%
제74회5월 27일29.2%32.7%
제75회6월 2일23.6%26.0%
제76회6월 3일28.0%31.9%
제77회6월 9일25.5%28.0%
제78회6월 10일28.3%31.0%
제79회6월 16일23.0%26.7%
제80회6월 17일30.1%32.5%
제81회6월 23일25.7%28.0%
제82회6월 24일30.1%30.9%
제83회6월 30일25.1%27.9%
제84회7월 1일29.5%33.0%
제85회7월 7일26.6%27.5%
제86회7월 8일30.0%30.8%
제87회7월 14일28.6%28.4%
제88회7월 15일24.5%26.2%
제89회7월 21일28.6%29.5%
제90회7월 22일28.4%28.6%
제91회7월 28일22.4%23.5%
제92회7월 29일32.1%31.9%
제93회8월 4일27.9%28.1%
제94회8월 5일32.7%30.8%
제95회8월 11일29.4%32.1%
제96회8월 12일31.9%34.4%
제97회8월 18일28.4%30.0%
제98회8월 19일31.4%30.7%
제99회8월 25일29.1%29.7%
제100회8월 26일32.1%33.5%
제101회9월 1일30.1%31.6%
제102회9월 2일33.2%33.4%
제103회9월 8일28.6%28.7%
제104회9월 9일33.3%34.5%
제105회9월 15일31.9%29.7%
제106회9월 16일35.5%36.2%
제107회9월 22일28.1%29.4%
제108회9월 23일25.8%29.8%
제109회9월 29일29.8%32.6%
제110회9월 30일32.6%33.8%
제111회10월 6일28.3%30.2%
제112회10월 7일33.5%33.3%
제113회10월 13일29.5%29.3%
제114회10월 14일33.6%34.2%
제115회10월 20일28.6%30.4%
제116회10월 21일33.0%36.3%
제117회10월 27일28.9%30.5%
제118회10월 28일32.4%34.4%
제119회11월 3일27.6%31.8%
제120회11월 4일31.0%33.1%
제121회11월 10일29.4%31.7%
제122회11월 11일31.9%32.6%
제123회11월 17일28.5%31.6%
제124회11월 18일31.6%35.3%
제125회11월 24일29.2%32.3%
제126회11월 25일31.1%34.5%
제127회12월 1일30.0%32.1%
제128회12월 2일31.0%32.9%
제129회12월 8일28.9%31.1%
제130회12월 9일33.0%36.8%
제131회12월 15일30.9%32.1%
제132회12월 16일30.1%32.8%
제133회12월 22일25.5%28.1%
제134회12월 23일30.8%33.3%
2007년 평균 시청률26.7%28.8%
전체 평균 시청률25.1%26.9%


4. 1. 2015년 재방송

2015년에 재방송된 <대조영>의 시청률은 2~4%대를 기록했다.[32]

회차방송 일자전국 시청률(증감치)
제1회2009/10/19미집계
제2회2009/10/202.5%
제3회2009/10/212.2%
제4회2009/10/222.9%
제5회2009/10/232.5%
제6회2009/10/243.2%
제7회2009/10/263.2%
제8회2009/10/273.2%
제9회2009/10/282.9%
제10회2009/10/293.3%
제11회2009/10/302.9%
제12회2009/10/313.6%
제13회2009/11/024.1%
제14회2009/11/033.1%
제15회2009/11/042.6%
제16회2009/11/052.4%
제17회2009/11/063.3%
제18회2009/11/073.1%
제19회2009/11/093.6%
제20회2009/11/103.7%
제21회2009/11/11미집계
제22회2009/11/12미집계
제23회2009/11/133.0%
제24회2009/11/142.9%
제25회2009/11/163.3%
제26회2009/11/172.7%
제27회2009/11/183.2%
제28회2009/11/193.0%
제29회2009/11/202.6%
제30회2009/11/213.2%
제31회2009/11/233.6%
제32회2009/11/243.2%
제33회2009/11/253.6%
제34회2009/11/263.0%
제35회2009/11/272.3%
제36회2009/11/282.9%
제37회2009/11/302.3%
제38회2009/12/013.7%
제39회2009/12/022.9%
제40회2009/12/032.7%
제41회2009/12/043.4%
제42회2009/12/052.9%
제43회2009/12/073.3%
제44회2009/12/083.5%
제45회2009/12/093.3%
제46회2009/12/102.4%
제47회2009/12/113.0%
제48회2009/12/122.6%
제49회2009/12/143.5%
제50회2009/12/152.7%
제51회2009/12/163.1%
제52회2009/12/172.8%
제53회2009/12/183.8%
제54회2009/12/193.3%
제55회2009/12/213.5%
제56회2009/12/223.1%
제57회2009/12/234.0%
제58회2009/12/243.1%
제59회2009/12/253.1%
제60회2009/12/263.2%
제61회2009/12/283.5%
제62회2009/12/293.4%
제63회2009/12/303.5%
제64회2009/12/313.2%
제65회2010/01/012.6%
제66회2010/01/022.7%
제67회2010/01/043.4%
제68회2010/01/053.3%
제69회2010/01/063.0%
제70회2010/01/073.2%
제71회2010/01/083.6%
제72회2010/01/093.9%
제73회2010/01/113.3%
제74회2010/01/123.7%
제75회2010/01/133.3%
제76회2010/01/143.1%
제77회2010/01/153.7%
제78회2010/01/163.6%
제79회2010/01/184.0%
제80회2010/01/192.7%
제81회2010/01/203.2%
제82회2010/01/213.3%
제83회2010/01/224.2%
제84회2010/01/233.3%
제85회2010/01/253.4%
제86회2010/01/262.6%
제87회2010/01/273.6%
제88회2010/01/283.8%
제89회2010/01/293.5%
제90회2010/01/303.2%
제91회2010/02/013.4%
제92회2010/02/023.3%
제93회2010/02/033.9%
제94회2010/02/043.7%
제95회2010/02/053.2%
제96회2010/02/063.4%
제97회2010/02/083.6%
제98회2010/02/093.1%
제99회2010/02/103.8%
제100회2010/02/113.2%
제101회2010/02/123.5%
제102회2010/02/134%
제103회2010/02/153.9%
제104회2010/02/163.5%
제105회2010/02/173.7%
제106회2010/02/183.5%
제107회2010/02/193.6%
제108회2010/02/203.8%
제109회2010/02/223.8%
제110회2010/02/234.6%
제111회2010/02/244.1%
제112회2010/02/254.3%
제113회2010/02/264.5%
제114회2010/02/284%
제115회2010/03/013.9%
제116회2010/03/024.0%
제117회2010/03/034.4%
제118회2010/03/044.8%
제119회2010/03/053.6%
제120회2010/03/064.5%
제121회2010/03/083.8%
제122회2010/03/094.0%
제123회2010/03/103.7%
제124회2010/03/113.5%
제125회2010/03/124.3%
제126회2010/03/133.3%
제127회2010/03/154.0%
제128회2010/03/163.4%
제129회2010/03/173.4%
제130회2010/03/183.9%
제131회2010/03/193.2%
제132회2010/03/203.8%
제133회2010/03/223.4%
제134회2010/03/233.5%


5. 연장

드라마 《대조영》은 당초 100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호평에 힘입어 34회 연장되어 134부작으로 종영되었다.

6. 수상 경력

수상 경력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2006KBS 연기대상남자 우수연기상김진태수상
2007KBS 연기대상대상최수종수상
남자 최우수연기상이덕화수상
남자 조연상임혁수상
남자 인기상정보석수상
네티즌상최수종수상
2008한국방송대상탤런트상최수종수상
장편드라마 작품상대조영수상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남자 최우수상최수종수상


7. 비판

중국 언론은 드라마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중경만보(2007년 3월 12일)는 드라마에서 태종이 화살에 맞아 실명하는 장면은 중국과 한국의 정사에는 없고, 고려 시대 이후 한국의 야사에만 등장하여 신빙성이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또한 칼에 배를 찔리는 장면 등 역사 왜곡이 많다고 비판했다. 중국통신사(2008년 11월 25일)도 발해 관련 드라마는 모순이 많고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27]

국내 역사학계에서도 드라마의 일부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지적이 있었다. 한규철(慶星大學校)은 발해 건국까지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대조영이 아니라 걸걸중상이며, 걸걸중상과 비슷한 지위에 있던 걸사비우가 대조영과 의형제가 되는 것은 있을 수 없고, 고구려 멸망 후 토번에 파견된 설인귀가 계속해서 요동 지역에서 활동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28]

8. 참고 사항

드라마의 사운드트랙 앨범은 2007년 7월 23일에 발매되었다.[6]

대조영 OST (한국판)
번호곡명가수
1어머니의 나라 (대조영 Main Title)주병선
2바람을 가르며
3초원
4애상(哀想)박효신
5나의 길고진영
6기다림
7새로운 태양
8연정
9그대만 모르죠나르샤
10이별이 오기전에은우, 성호
11나를 따르라J3
12대조영
13천년의 기다림
14발해를 기억하라
15고구려의 꿈
16숙명의 길
17비통
18초린
19또다른 희망



컬처 퍼블리셔스(カルチュア・パブリッシャーズ)에서 발매하고, 제네온 엔터테인먼트(ジェネオン・ユニバーサ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에서 판매를 담당하여, 드라마의 DVD-BOX는 다음과 같이 발매되었다.

대조영 DVD-BOX (일본판)
제목구성발매일
『대조영(大祚榮 テジョヨン)』DVD-BOX11화~12화2008년 10월
『대조영(大祚榮 テジョヨン)』DVD-BOX213화~24화2008년 11월
『대조영(大祚榮 テジョヨン)』DVD-BOX325화~36화2008년 12월
『대조영(大祚榮 テジョヨン)』DVD-BOX437화~48화2009년 1월
『대조영(大祚榮 テジョヨン)』DVD-BOX549화~62화2009년 2월
『대조영(大祚榮 テジョヨン)』DVD-BOX663화~76화2009년 3월
『대조영(大祚榮 テジョヨン)』DVD-BOX777화~90화2009년 4월
『대조영(大祚榮 テジョヨン)』DVD-BOX891화~104화2009년 5월
『대조영(大祚榮 テジョヨン)』DVD-BOX9105화~118화2009년 6월
『대조영(大祚榮 テジョヨン)』DVD-BOX10119화~134화2009년 7월



마루야마 유키코(丸山幸子) 외 편저로 『한국 드라마 공식 가이드북 대조영』(공동통신사, 2009년, ISBN 978-4-7641-3113-2 C9474)이 출판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KBS 대하사극이 어찌 이 지경이 되었단 말이더냐 https://entertain.na[...] 2019-07-13
[2] 웹사이트 [강원도 산불] 드라마 '대조영' 촬영지 설악씨네라마 모두 불타 https://www.ajunews.[...] 2019-04-05
[3] 웹사이트 속초 한화리조트에 '대조영' 촬영세트장 http://www.hani.co.k[...] 2006-05-24
[4] 웹사이트 숫자로 되돌아 본 http://www.ohmynews.[...] 2007-12-24
[5] 웹사이트 '대조영' 연말까지 연장.. 연기자 출연협상 남아 http://star.mt.co.kr[...] 2007-06-04
[6] 웹사이트 Dae Jo Young (대조영) [Original Soundtrack] by Various Artists https://music.apple.[...]
[7] 웹사이트 KBS 연기대상 시상한 최진실, ''MBC 드라마 봐주세요'' http://www.nocutnews[...] 2007-01-01
[8] 웹사이트 2007 Year-end Korean drama awards round-up https://www.hancinem[...]
[9] 웹사이트 '대조영', 2007 KBS 연기대상 장악 https://news.joins.c[...] 2008-01-01
[10] 웹사이트 '대조영' 최수종, 방송대상 탤런트상 수상 http://star.mt.co.kr[...] 2008-09-03
[11] 웹사이트 '방송대상' 최수종, "'대조영' 제작진과 가족에게 감사" https://www.edaily.c[...] 2008-09-03
[12] 웹사이트 김혜자·김명민,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어워즈 대상 격돌 https://news.joins.c[...] 2008-10-15
[13] 웹사이트 진주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막올라 http://www.hani.co.k[...] 2008-11-01
[14] 문서 第4話
[15] 문서 第8話
[16] 문서 第16話
[17] 문서 第5話
[18] 문서 第5話、第6話
[19] 문서 第6話
[20] 문서 実際には自らを弥勒菩薩の生まれ変わりと称し、このことを記したとする『大雲経』を捏造し、これを納める「大雲経寺」を全国の各州に造らせる。
[21] 문서 史実及びドラマでも、自身の暴政と営州都督の趙文翽の横暴により契丹が大規模な反乱を起こして河北へ侵攻するなど、遼東・遼西の情勢を却って悪化させたりする。
[22] 문서 第3話
[23] 문서 死の沼と呼ばれる遼沢しか逃げ道がなくなったイ・セミン本隊の退却のために決死隊に名乗り出るが、再び敗れ、捕えられた後に斬首される(第5話)。
[24] 문서 実際には歴代の軍人(武川鎮軍閥出身)では無く隋末の群盗の出身。史実では、李治が元々は李世民の側室であった則天武后を皇后にしたいと思った際、李勣は「これは陛下の御家の事です。なぜ赤の他人である私に聞くのですか」と答え、それによって李治は則天武后を皇后とした。その為則天武后とは比較的良好な関係であった。
[25] 문서 本貫は蒲州汾陰県(山西省運城市栄河県)で絳州竜門県(山西省河津市)の出身なので正しくは契丹人では無い。但し拓跋国家の軍人なので鮮卑との関連性は否定出来無い。
[26] 문서 第12話から登場。
[27] 논문 中韓両国の歴史・文化摩擦に対する文明史的考察 http://id.nii.ac.jp/[...] 新潟産業大学東アジア経済文化研究所
[28] 뉴스 韓国時代劇の史実無視を学界が指摘 演出? それとも歪曲? http://japanese.chos[...] 2007-03-18
[29] 뉴스 '대조영'을 위한 변명…드라마와 역사, 왜곡인가 상상력인가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01-02
[30] 뉴스인용 '대조영' 끝나면… 11월 '세종대왕' 납신다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07-06-12
[31] 문서 드라마에서 나오는 이름과는 달리 본명은 걸걸중상이다.
[32] 웹인용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http://www.agbnielse[...]
[33] 뉴스인용 '새신부' 임채원, 결혼선물로 '대조영' 출연 http://entertain.nav[...]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07-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